Linux23 WSL 에 도커 데스크톱 없이 docker 권한추가 우분투 22.04 이상일 땐 만약 우분투 버전이 22.04 이상이라면, ‘iptables’ 설정을 먼저 변경하고 나서 이후 과정을 따라가야 합니다. 우분투 22.04 버전부터 ‘iptables-nft’가 기본 설정으로 잡혀있어서, WSL에서 도커를 사용할 때 호환성 이슈가 발생합니다. ‘iptables-nft’ 대신 ‘iptables-legacy’를 사용해야 도커 데몬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 우분투 20.04 이하 버전을 WSL에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확인만 하고 그냥 넘어가셔도 됩니다. Failure to install and run Docker in WSL Ubuntu 22.04 (works in 20.04): “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”: https://gith.. 2023. 7. 8. postgresql 설치 postgresql 설치 #yum install postgresql15-server.x86_64 #yum install postgresql15-contrib.x86_64 #/usr/bin/postgresql-setup --initdb #vi /var/lib/pgsql/data/postgresql.conf # service postgresql restart #vim /var/lib/pgsql/data/pg_hba.conf // DB 사용자 추가 2023. 6. 22. 특정날자 기준으로 조회 및 삭제 1. 특정 날자 이전 #find -type f ! -newermt '2020-03-14' -exec ls -l {} \; find -type f ! -newermt '2020-03-14' -exec rm -rf {} \; 2. 특정 날자 이후 #find -type f -newermt '2020-03-14' -exec ls -l {} \; find -type f -newermt '2020-03-14' -exec rm -rf {} \; 2021. 5. 11. NFS 설정 서버 설정 1. nfs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 #yum -y install nfs-utils 2. 공유 디렉토리 설정 #vi /etc/exports /home/nfs 172.31.0.0/16(rw,sync,insecure,all_squash) /home/nfs : 공유할 디렉토리 172.31.0.0/16 : 접근할 아이피 대역 3. NFS 데몬 구동 #service nfs start #chkconfig --level 3 nfs on 4. 설정 확인 # showmount -e Export list for ip-xxxxx: /home/nfs 172.31.0.0/16 클라이언트 설정 1. 환경설정 #yum -y install nfs-utils #chkconfig --level 3 nfs on #mount.. 2021. 4. 3. SWAP 만들기 > 1G 만들기 #dd if=/dev/zero of=/swapfile bs=1k count=1000000 conv=excl #chmod 600 /swapfile #mkswap /swapfile # swapon /swapfile # vi /etc/rc.local swapon /swapfile 추가 혹은 # vi /etc/fstab /swapfile swap swap auto 0 0 2020. 12. 4. Send Mail 설정하기 1. sendmail.mc 수정 아래 부분을 찾아 dnl TRUST_AUTH_MECH(`EXTERNAL DIGEST-MD5 CRAM-MD5 LOGIN PLAIN')dnl 다음과 같이 앞의 dnl 을 삭제 한다. TRUST_AUTH_MECH(`EXTERNAL DIGEST-MD5 CRAM-MD5 LOGIN PLAIN')dnl 아래 부분을 찾아 dnl define(`confAUTH_MECHANISMS', `EXTERNAL GSSAPI DIGEST-MD5 CRAM-MD5 LOGIN PLAIN')dnl 다음과 같이 앞의 dnl 을 삭제 한다. define(`confAUTH_MECHANISMS', `EXTERNAL GSSAPI DIGEST-MD5 CRAM-MD5 LOGIN PLAIN')dnl 아래부분을 찾아 dnl.. 2020. 3. 16. tomcat 에서 umask 설정하기 bin/catalina.sh # Set UMASK unless it has been overridden if [ -z "$UMASK" ]; then UMASK="0007" 2019. 5. 21. 파일 생성시에 특정 그룹으로 생성하고자 할때 파일 생성시에 기본 그룹으로 생성되서 파일 접근이 어려울 경우가 종종있다. 해당 부분 담과 같이 해주면 된다. /etc/group groupa:x:501:admin,user user:x:504: /etc/passwd user:x:504:504::/home/user:/bin/bash => 이경우 user 가 파일 생성하면 owner : user , group : user 가 된다. #usermod -g groupa user /etc/passwd user:x:504:501::/home/user:/bin/bash 2019. 5. 14. tomcat manager 403 error 1. /conf/tomcat-user.xml 2. /conf/Catalina/localhost/manager.xml org.apache.catalina.valves.RemoteAddrValve" allow=".*" /> 2019. 4. 18. yum daum repository 변경 1. File 을 생성한다.vi /etc/yum.repos.d/Daum.repo [base] name=CentOS-$releasever - Base baseurl=http://ftp.daumkakao.com/centos/$releasever/os/$basearch/ gpgcheck=0 [updates] name=CentOS-$releasever - Updates baseurl=http://ftp.daumkakao.com/centos/$releasever/updates/$basearch/ gpgcheck=0 [extras] name=CentOS-$releasever - Extras baseurl=http://ftp.daumkakao.com/centos/$releasever/extras/$basearch/ .. 2019. 3. 19.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