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mstat - vmstat 명령어는 프로세스, 메모리, 페이징, I/O 블럭, CPU 활동 사항들의 정보를
출력하는 기능을 한다.
[ 옵 션 ]
-n : delay 시간 및 count 를 지정할 수 있다.
[root@soma]# vmstat -n 2 10
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
r b w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
1 0 0 3928 55140 32432 111040 0 0 0 0 11 8 0 0 7
0 0 0 3928 55140 32432 111040 0 0 0 0 106 9 0 0 100
0 0 0 3928 55140 32432 111040 0 0 0 0 106 10 0 0 100
위의 정보처럼 2 초라는 delay 를 두고 10 개의 결과 레코드를 출력한다.
[ 설 명 ]
* Procs
r : 실행시간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의 수
b : 계속 잠들어있는 프로세스의 수
c : swapped out 되었거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의 수
* Memory
swpd : virtual memory 로 사용되는 양 (kB)
free : 쉬고 있는 memory 의 양 (kB)
buff : buffer 에 사용되고 있는 memory의 양 (kB)
* Swap
si : swapped in 된 memory 의 양 (kB)
so : swapped out 된 memory 의 양 (kB)
스왑 아웃 - 스왑 아웃이란 물리적 메모리가 모자를 경우 사용되고 있는
물리적 메모를 해제하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.
수왑 인 - 스왑 아웃된 내용이 다시 필요하게 될 경우 이를 다시 불러오는 것을 말한다.
주) 위의 스왑 인/아웃에 대한 설명은 아주 간단하게 말한 것으므로 이해하기가
힘들 것으로 생각된다. 그러므로 꼭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기 바란다.
* IO
bi : block device 에 보낸 blocks (blocks/s)
bo : block device 로 부터 받은 blocks (blocks/s)
* System
in : 초당 발생한 interrupts 의 수
cs : 초당 발행한 context switches ( 문맥 교환 ) 의 수
* CPU
us :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시간
(이 수치가 높다면 계산을 많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.)
sy :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시간
(이 수치가 높으면 프로세스들이 많은 시스템 호출을 하거나 I/O 가
많이 일어난다고 생각하면 된다 )
id : 휴지 시간
Linux
댓글